실수 행위에 대한 설명
심리학에서 볼 때 프로이트는 어떤 의미를 가질까 생각해 볼 수 있습니다.
매우 흔히 일어나며 잘 알려져 있기는 하지만 대부분 간과되어 왔고, 건강한 모든 사람에게서도 관찰될 수 있기 때문에 질병과는 아무런 상관이 없는 그런 현상을 택하긱로 합시다. 그것은 사람들에게서 흔히 발견되는 이른바 ‘실수 행위’라고 일컬어지는 것들로서, 어떤 사람이 무엇인가를 말하려고 했는데 그 대신에 다른 말이 튀어나오는 잘못 말하기 같은 것이라든가, 그가 그것을 눈치챘든 그러지 못했든 간에 그러한 똑같은 일이 글을 쓰는 과정에서 일어나는 것, 혹은 어떤 사람이 인쇄물로 된 것이나 문서에 씌어 있는 것을 읽을 때 거기에 쓰인 것과는 다르게 읽으면서 일어나는 잘못 읽기 같은 것, 또는 그의 청각 기관에 어떤 기능적인 장애가 없음에도 불구하고 다른 사람이 말한 것을 틀리게 들을 때, 즉 잘못 듣기 같은 행위들을 말합니다.
실수 행위의 양상
그러한 현상들의 또 다른 종류에는 망각이 그 근저에 놓여 있습니다. 그러나 이는 지속적인 것이 아니라 일시적인 현상일 뿐입니다. 예를 들어 그가 확실히 알고 있고 언제나 기억하고 있던 어떤 이름을 생각해 낼 수 없을 때나, 나중에는 기억해 낼 수 있었으나 어떤 계획을 실행했다가 잊어버릴 때, 즉 일정 시간 동안만 잊어버리는 것과 같은 경우입니다. 세번째 현상에서는 일시적으로만 이라는 조건이 빠져 버립니다. 예를 들어 어떤 사람이 어떤 물건을 어딘가에 놓아두었다가 찾지 못하는 경우인 잘못 놓기와, 그와 유사한 경우인 잃어버리기가 여기에 속하는 사례들입니다. 이러한 행위의 근저에는 망각이 가로놓여 있는데, 이 경우에 사람들은 다른 망각의 경우에서처럼 그것을 이해할 수 있는 행위로 간주하지 않고 놀라거나 분개하는 등 다른 반을을 보입니다.
그 밖에도 ‘일시성’이라는 요인이 전면에 나타나는 일련의 다른 착각들이 있는데, 그 경우에 사람들은 그 전이나 그 후레 달리 이해하고 있던 어떤 것으 잠시 동안 사실로 믿어 버리는 따위의 행동을 합니다. 이 밖에도 다른 여러가지 이름을 가진 비슷한 경우가 수없이 많습니다.
이와 같은 것들은 모두 ver-라는 전철이 앞에 놓이면서 그들 사이의 내적인 유사성이 표현되는 경우들입니다. 그것들은 거의 모두 별로 중요하지 않은 것들로, 대부분은 매우 피상적인 성격을 띠며 인간들의 생활에서 그다지 큰 의미를 갖고 있지 않습니다. 어쩌다 매우 드문 경우, 어떤 물건을 잃어버린다든지 하는 몇 가지 경우에만 실제적인 중요성을 갖게 될 뿐입니다. 그러므로 여러분도 그다지 큰 관심을 느끼지 못하고 있고 아주 미약한 감정적 동요를 느끼게 될 것입니다.
실수 행위를 주목하는 것에 대한 불만
그러나 나는 이제 이러한 현상에 대해 여러분의 주의를 끌고자 합니다. 그러나 여러분은 나에게 다음과 같은 불만스롭게 항의할지도 모릅니다.
정신생활의 좁은 영역에 수많은 수수계끼들이 숨어 있는 것처럼 이 세상에는 대단히 엄청난 불가사의들이 수없이 많습니다. 정신 장애의 영역에도 해명을 요구하고 있고, 또 그렇게 할 가치가 있는 수없이 많은 경이들이 존재합니다. 그러므로 그렇게 사소한 것들에다 우리의 정력과 관심을 바친다는 것은 정말 어이없는 일처럼 생각됩니다. 건강한 눈과 귀를 가진 사람이 어찌해서 실제로 있지도 않은 것들을 대낮에 보거나 듣게 되는 것인지, 또 왜 어떤 사람은 이제까지 가장 사랑하던 사람에게서 갑자기 방해받고 있다고 믿게 되는 것인지, 어떻게 해서 어린아이들에게 조차 말도 안되는 일로 생각되는 망상이 가장 예리하고도 논리적인 이유로 무장한 채 주장되는 것인지를 선생님께서 우리게게 납득할 수 있게 해주신다면, 우리도 정신분석을 높이 평가하게 될 것입니다. 그러나 정신분석이, 축하 파티를 하는 자리에서 추사를 하는 사람이 왜 자기가 의도하지 않았던 말을 잘못 말하는 것인지, 가정주부는 왜 자신의 열쇠를 잘못 놓아두고 찾지 못하는지 등의 하찮은 것들만을 다루는 것 이외에 아무것도 할 수 없다면, 우리도 우리의 시간과 관심을 더욱 중요한 다른 것에 바치고자 합니다.
실수 행위를 주목하는 단서
나는 여러분의 비판이 요점에서 빗나갔다고 생각합니다. 정신분석은 이와 같은 사소한 문제들에 집착해 본 적이 없노라고 자신 있게 자랑할 수 없다는 것은 사실입니다. 반대로, 정신분석의 관찰 재료는 일반적으로ㅗ 눈에 띄지 않는 사건들, 다른 학문들에서 너무 사소한 문제로 치부되어 무시되는 것들, 이른바 현상 세계의 쓰레기 같은 것들입니다. 그러나 여러분은 이와 같은 비판을 하면서 문제의 크기와 징후의 현저함 사이에서 혼동을 일으키고 있는 것은 아닙니까? 어떤 조건과 상황에서는 아주 미약한 징조만으로도 드러나게 되는 중요한 것들이 있는데도 여러분은 그러한 가능성을 전혀 배제하고 있는 것은 아닙니까?
여러분 중에서 젊은 청년들을 생각해 보더라도, 작은 징조만을 가지고도 자신이 한 숙녀의 호감을 사고 있다고 믿어버리곤 할 것입니다. 또한 여러분이 범죄 수사관이 되어 어떤 살인 사건의 조사에 관여하고 있는 중이라고 가정할 때, 여러분은 그 범인이 자기의 사진과 주소 등을 사건 현장에 남겨 놓기를 기대하지는 않으시겠지요? 이럴 경우 아주 작은 징조라 하더라도 그것을 무시하지 않을 것입니다. 어쩌면 그것에서 더 큰 단서가 나올 수도 있으니까요.
그래서 나는 여러분에게는 얼핏 아무것도 아닌 것처럼 보이는 건강한 사람들의 실수 행위를 연구하는 일에 여러분의 관심을 고정시켜 버리라고 권하고 싶습니다.
'심리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진화 심리학에 대한 이해 (0) | 2023.07.19 |
---|---|
인지 심리학이란? (0) | 2023.07.18 |
행동 심리학이란? (0) | 2023.07.18 |
심리학으로 보는 프로이트 정신분석학-외현적 꿈, 잠재적 꿈 (0) | 2023.07.17 |
심리학으로 보는 프로이트 정신분석학-꿈의 해석 (0) | 2023.07.17 |